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혜택, 신청방법 등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집값은 높고 월급은 제자리. 청년들이 자산을 모으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해 정부가 마련한 대표 청년 자산 형성 정책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현재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일정 소득 요건을 충족할 경우 정부가 매달 납입액에 맞춰 보조금(기여금)과 이자를 더해줍니다.
하지만 자격 조건과 혜택 구조가 꽤 복잡해서, 정확히 모르면 손해 보기 쉬운 상품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깔끔하게 정리해드렸습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5년 만기형 자유적립 상품입니다.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정부가 기여금(보조금)을 최대 3만 3천 원을 추가 지원해 5년 후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입니다.
📌 매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
📌 정부 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포함
2️⃣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 나이 요건
- 만 19세 ~ 만 34세 이하 청년
- 병역이행자(군필자)는 복무기간만큼 가입 가능 연령 연장
✅ 소득 요건
- 개인소득 연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육아휴직급여 또는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다면 제외대상입니다.
-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미확정인 기간에는 전전년도의 소득이 인정됩니다.
✅ 거주 요건
- 대한민국 거주자 (내국인)
✅ 기타 요건
- 금융채무 불이행자, 고소득자, 고액 자산가 등은 제외될 수 있음
-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 (해지 후 가입 가능)
3️⃣ 청년도약계좌 납입 및 혜택 구조
항목 | 내용 |
납입 금액 | 매달 1천 원 ~ 70만 원 내에서 자유납입 |
납입 기간 | 5년 (60개월) |
정부 기여금 | 매월 최대 3만 3천 원 |
이자 혜택 | 비과세 + 시중 은행 우대금리 가능 |
📌 정부 기여금은 매달 납입한 금액과 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2년 이상 유지하면, 납입원금의 40% 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3년 이상 유지하면, 중도 해지하는 경우에도 비과세 및 기여금 지급혜택을 60%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개인신용평가 점수에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가 자동으로 연결되며, 2년동안 800만원 이상 납입시 개인신용평가점수에 가점이 부여됩니다.
4️⃣ 청년도약계좌와 연계된 정책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 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금을 이전하면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의 납입실적으로 허용됩니다.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완벽 정리 – 조건, 혜택, 가입 방법 까지 한 번에!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완벽 정리 – 조건, 혜택, 가입 방법 까지 한 번에!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완전 정리 – 혜택, 조건, 가입법까지 한 번에! 청년 주거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면서 정부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주거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그 중에
blog.ggammi-1.com
5️⃣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절차
- 은행앱에서 매월 비대면 신청
-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경남, 광주, 대구, 부산, 전북
- 청년도약계좌 각 은행별 금리 비교해보기
- 본인 인증 및 소득 정보 자동 조회
- 월 납입액 선택
- 통장 개설 후 매달 자동이체 설정
- 5년 후 만기 수령
👉신청기간: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날짜는 매월 일정기간 동안만 열리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필요 서류
- 주민등록등본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가구소득 판단용)
- 소득금액증명원 (필요 시)
- 병역 이행 확인서 (해당자만)
6️⃣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FAQ)
Q. 일시납입 후 청년도약계좌 만기일을 당겨도 되나요?
→ 청년도약계좌는 5년을 넘어야 만기해지가 됩니다.
Q.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
→ 불가능합니다. 기존 희망적금 가입자는 해지를 해야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가능합니다.
Q. 월 납입금액은 변경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월 1천 원 ~ 70만 원 범위 내에서 유동 조정 가능.
Q. 은행마다 혜택 차이가 있나요?
→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우대금리 이벤트나 적금 연계 서비스는 은행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한 달에 1천 원 ~ 70만 원씩 5년간 저축만 해도 정부가 함께 돈을 모아주는 청년을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소득 기준만 충족한다면 누구나 도전해볼 수 있는 실질적 지원책이자, 청년 재테크의 첫걸음으로 꼭 필요한 통장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꼭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실 포켓몬타운 완벽 가이드 - 포켓몬타운 귀여움 대폭발! (0) | 2025.04.26 |
---|---|
CGV × 짱구떡잎상사 콜라보 굿즈, 구성, 극장 / 짱구떡잎상사 구매 (0) | 2025.04.25 |
어린이날 행사 / 어린이날 행사 정보 / 어린이날 가볼만한 곳 (0) | 2025.04.24 |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 청년은 480만원, 기업은 720만원 지원 받아요! (0) | 2025.04.23 |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조건, 혜택, 신청방법 등 청년내일저축계좌 총정리 (0) | 2025.04.22 |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총정리 - 저축만 하면 돈을 더 줍니다. (0) | 2025.04.20 |
KB국민은행 & 스타벅스 콜라보 'KB별별통장' 완벽 정리 (0) | 2025.04.16 |
산불 피해보상 총정리 - 보상 대상, 신청 절차 등 한눈에 보기 (2) | 2025.04.12 |